도고 헤이하치로, "이순신에 비하면 나는 하사관 이하" 발언의 출처 에서 트랙백.
링크 본문을 인용하며 덤으로 영국에서도 넬슨과 비교한 적이 있다- 는 내용조차 허구라는 이야기가 모처에 돌기에 메모 겸사 포스팅합니다.
4년 전에 dreadnought 님께서 책을 찾아서 본문을 스캔해 올리신 적이 있지요.
본문이 엄연히 남아 있으니 퍼올리는 대신 링크로 대신합니다. (본문보기)
(사실 필멸에도 올라갔던 내용이지만 제가 홈피를 날려먹는 바람에 T-T)
이쪽은 도고 설에 비해선 그 출처가 명확합니다.
The influence of the sea on the political history of Japan 라는 책 부터가 분명히 현존하니까요.
참고로 저자인 조지 알렉산더 발라드 경은 단순히 영국 해군 제독-전략가 정도로만 알려져 있습니다만.
실무 쪽 경력만 해도 (2대전 경력은 복잡하니 제외)무려 피셔와 해군 제1경 당시 처칠 밑에 있었고 (그 성질머리들...) 전략 차원에서도 마한-코르벳으로 이어지는 교과서급 해양전략가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업적과 명성이 있는 분입니다.
당대에 흔치않은 영국계 동양통이기도 했지요. 정확히는 일본한정에 가까웠지만.
(그냥 제독 겸 전략가 하면 특출난 병신력을 자랑하는 애들도 한둘이 아니고...)
링크 본문을 인용하며 덤으로 영국에서도 넬슨과 비교한 적이 있다- 는 내용조차 허구라는 이야기가 모처에 돌기에 메모 겸사 포스팅합니다.
4년 전에 dreadnought 님께서 책을 찾아서 본문을 스캔해 올리신 적이 있지요.
본문이 엄연히 남아 있으니 퍼올리는 대신 링크로 대신합니다. (본문보기)
(사실 필멸에도 올라갔던 내용이지만 제가 홈피를 날려먹는 바람에 T-T)
이쪽은 도고 설에 비해선 그 출처가 명확합니다.
The influence of the sea on the political history of Japan 라는 책 부터가 분명히 현존하니까요.
참고로 저자인 조지 알렉산더 발라드 경은 단순히 영국 해군 제독-전략가 정도로만 알려져 있습니다만.
실무 쪽 경력만 해도 (2대전 경력은 복잡하니 제외)무려 피셔와 해군 제1경 당시 처칠 밑에 있었고 (그 성질머리들...) 전략 차원에서도 마한-코르벳으로 이어지는 교과서급 해양전략가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업적과 명성이 있는 분입니다.
당대에 흔치않은 영국계 동양통이기도 했지요. 정확히는 일본한정에 가까웠지만.
(그냥 제독 겸 전략가 하면 특출난 병신력을 자랑하는 애들도 한둘이 아니고...)
덧글
역시 이순신 장군이 최고입니다.
저 책 조금 번역한답시고 학교 도서관에서 저 책을 2번인가 대출했었지요.(아마 대출한 사람은 제가 최초이자 유일할지도)
이 책에서 희대의 잉여(...) 원균은 이름도 안나오고 another korean admiral로 간단히 처리합니다.
그리고 로열네이비 제독은 겉멋이 아니잖슴... 그것도 2차대전기의 영국제독을 듣보잡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려나....(먼산)
제가 냈던 등록금이 자료구입에 올바르게 쓰였다는 사실을 알고는 참 흐뭇하게 생각했었습니다(...) 물론 그런 학생은 소수였겠지만요.
그리고 발라드 제독을 지금까지 단순히 로열 네이비 중장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더 대단한 인물이었군요.오늘 루뎅님 홈피에서 잘 배우고 갑니다.
영국 해사에서는 이순신의 전법을 배운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그리고 영국 사관학교에서 충무공 전법 가르친적 없습니다.
1. 문맥상 발라드 = 듣보잡이라고 규정한 곳이 있습니까?
듣보잡이 거론된 댓글의 문맥은 양차대전을 겪은 제독이라고 해서 모두 이름이 있는 건 아니다- 라는 내용 뿐입니다.
2. 발라드 제독이 회고록을 쓴 적이 있습니까? 학계에서야 논문과 사서 집필로 이름이 알려져 있습니다만 대중적인 회고록을 집필했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는데. 혹 존재한다면 제목을 알려주실수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