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위시한 서방국가 및 기타
이란의 외화 획득 경로는 어디까지나 석유 수출이며 핵심 수출시장이 경제제재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인도와 중국임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그런데 바로 그 중국의. 이란 최대 고객의 원유수입량이 2개월째 급격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동 경제 전문 컨설팅 업체들은 이런 경향을 유가하락을 노리는
대충 정리하자면 이런 식.
1. 이란은 내부 경제개혁 실패로 대량의 외화가 필요하다.
2. 따라서 이란은 수출노선 다변화와 내부 공업육성으로 달러나 유로를 벌어들이려 노력해 왔다.
3. 경제제재로 외화입수경로 다변화가 실패했다, 믿을건 인도/중국 원유수출밖에 없다.
4. 그래서 이란은 석유값을 올려받으려고 인도/중국에 구매가 인상이나 구매대금 조기지불을 요구했다.
5. 하지만 중국이 미치지 않은 다음에야 순순히 돈을 더 내 줄 리가 없다. 급한 게 이란이지 중국인가?
6. 이 참에 석유값 부담도 덜고 파사 오랑캐 버르장머리도 고쳐주는 일거양득을 노리고 일부러 안 사는 거다. (...)

그러니까 대충 이런 상황. (...)
중동 쪽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이 수입제한 정책을 1-2개월만 지속하더라도 이란은 백기를 내걸고 석유값을 10~15% 가량 깎아 줄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10% 이상의 유가 하락을 감수하면서 입게 될 금전적 손실은 미국과 그 떨거지들의 봉쇄정책이 이란에 입힌 피해보다 훨씬 클 거라고...
덧글
도와줄거라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 중국애들이 세계 3대 상인이라는 걸 잊었나보죠...
샤일록 - 유대상인 , 왕서방 -중국상인 , 야바위꾼 - 인도상인
찾아 보니..
유대인 중국인 아라비아 상인이라네요.
일단 중동만 한정해서 살펴본다면 인도인들이 장악한 상권이 상당합니다.
그동안 금융이나 IT부문의 하청에서 두각을 나타냈지만 그동안 미진했던 제조업 진출이 가시화되면서 주목해야 할 집단이 바로 인도상인입니다.
대우일렉이나 대우상용차를 인수하면서 우리와의 연관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탈리아와 우리나라가 따르고 있구요.
왠지 우리나라만 중간에 끼여서 애먹을 것 같네요.
......... 이 무슨 카오스.or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