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현대를 어떻게 발음합니까?

"나도 이 회사에 몇 년째 다니고 있지만 여전히 헷갈립니다, 빌어먹을."


테이트 모던(런던 뱅크사이드에 있는 현대미술관)의 스탭과 방문자들은 까다로운 언어학적 난제와 씨름할 위기에 놓였다. 동양에서 건너온 이 난해한 이름을 대체 어떻게 발음해야 할까?
한국에서 건너온 공룡급 자동차 회사는 이제 테이트 모던의 터빈 홀 갤러리를 후원하게 되면서 세계에서 가장 잘못 발음하기 쉬운 회사 이름 중 하나로 미술 팬들에게 알려질 것이 분명하다. 
올바른 발음을 중시하는 많은 저명인사들은 앞으로 터빈 홀 갤러리에서 찬조멘트 요청이 들어오는 걸 피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것도 2015년 이후 11년 정도 말이다.



자사의 마케팅에서조차 이 회사는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린다.
몇년 전 슈퍼볼 CF 에서 BMW와 렉서스의 임원 (물론 가상이다) 이 짜증을 내며 한 업체의 이름을 연호했다. "현대" 라고 했지만 왠지 "선데이" 같이 들렸다. 당장 CF에서조차 대놓고 Like Sunday 라는 맨트를 던졌고.

그렇다면 정확한 발음은 뭘까? 
답은 당신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BBC 프로덕션 유닛에서 한국어 발음 전문가로 재직중인 조 킴 (어디가 라스트네임일까요;) 은 이렇게 답했다. 

"일단 완전한 오리지널 한국발음은 HYUN-day 에 가깝다. 여기서 Hy 발음은 크게, u 는 대충 건너뛰고 day 에서 -AY 에 강세가 들어가야 한다."

다함께 따라해 보자. 효ㅕㄴ-ㅐ. 어려워!
현대 UK 는 광고에서 좀 다른 발음을 쓴다. 대충 옮기자면 이런 식이다. (영국식 발음으로 읽어주세요) 
high-UUN-digh. 여기서 또 -gh 는 높이, -uu 와 -igh 는 같은 선상에서 발음해야 한다. 이것이 현대 UK의 홍보담당자인 로라 킹이 발음하는 영국식 발음법이다.
그렇다, 또 다른 발음법이 있는 거다.  한국과 영국식 두 가지 발음만을 병기하기엔 글로벌 시장이 너무 넓다.
당장 현대의 최대 텃밭인 미국시장에서는 슈퍼볼 CF 와 같은 발음이 쓰인다. HUN-day. 여기서 -H 와 -u 에 특히 주의하자. 선데이처럼 발음하는 걸 잊지 말고. 
그리고 같은 미국이라도 켈리포니아 딜러들이 쓰는 "스페인식 발음" 은 또 다르다. 이쪽에서 통용되는 이름은 Han-die 에 가깝다. 
가장 골치아픈 문제는 이 "가이드라인" 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데 있다. 현대, 헌대, 횬다이, 효온대, 한대, 한ㄷ- 헌다이...

전부 이해가 되는가? 이건 악몽같던 Daewoo 의 발음과는 완전히 다른, 더 심각한 문제다!



덧글

  • 다져써스피릿 2014/01/21 08:20 #

    "휸다이"가 빠졌네요. "하이운다이"도 들어봤습니다ㅋ
    저 수퍼볼 광고를 처음 봤을때 "그것도 아냐 이 ㅅㅋ들아!!!!!"를 TV화면에 외친 경력이 있습니다만......
    뭐 그 정도 발음이면 양반이랄까............... 스파에서 류 발음도 "롸이유"라고밖에 못하는 인간들이니ㅋㅋㅋㅋㅋ
  • 런리쓰일산 2014/01/21 08:23 # 삭제

    현대는 그냥 현대지 이무슨 홍길동전...
    르노는 르나웃 벤츠는 벤즈라고 안하는거처럼 현대도 그냥 현대라고좀...
  • 아방가르드 2014/01/21 08:51 #

    Renault도 르노라는 한글표기가 더 익숙하니 안 헷갈리지, 사실 저 영어 원문을 보면 "르노"인줄 모르는 사람들도 꽤 있습니다.

    "야 레놀트라는 차가 뭐냐?" "야 그거 르노야" "뭣이??"

    나름 차덕후라는 친구랑 있었던 대화내용입니다 ㅇㅇ;
  • 다져써스피릿 2014/01/21 09:08 #

    그렇다고 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어 단어나 이름을 언제나 완벽하게 발음하는건 아니잖습니까. 우리딴에야 "우리는 너네 단어 제대로 발음하는데!" 하는거지 그사람들 듣기에는 우리들 발음이 어색하긴 엇비슷합니다. 그냥 서로서로 "훗, 너넨 이거 발음도 못하냐?" 씨익 웃어주면서 언어상 발음구조가 다르니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게 맘 편합니다ㅎㅎㅎ
  • 홍차도둑 2014/01/21 09:11 #

    르노도 잘못 읽으시는 거에요...본토발음대로 하면...ㅎㅎ
  • 아방가르드 2014/01/21 08:49 #

    Chevrolet도 뭐 비슷하지 않을까요 ㅋㅋ
    미국에서는 셰브럴레이 (이마저도 힘들어서 다들 셰비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발음체계가 고자라서 시보레
    한국에서는 그걸 따르다가 자체 표기인 쉐보레를 새로 만들고.. (외국어 발음규정상 사실 맞는 발음은 아니더군요;)

    인도나 중국 등 다른 나라에서도 발음이 제각각일것같습...
  • 홍차도둑 2014/01/21 09:10 #

    위에 쓰신 르노도 프랑스 가면 흐노 이옵니다. 라틴계의 r은 흐 발음이나요. 물론 국립국어원 발음으로는 르노가 맞지만요. 제 주변에서 프랑스 유학 다녀오신분들은 다 그렇게 발음하시다가...한국오시면 다르게 발음하시죠...본토발음대로 해 봐야 다른사람들이 못알아 듣는다고...
  • m1a1carbine 2014/01/21 12:49 #

    프랑스어랑 포르투갈어를 헷갈리신거 아님까.

    걔들이 파리를 빠리라고는 해도 빠히라고는 안하잖슴.
  • 소년 아 2014/01/21 13:11 #

    홍차도둑 님 말씀이 맞습니다. 그리고 빠히라고 합니다. 프랑스분들이 88올림픽 때 서울에 와서 오도히를 못 사셔서 애 많이 먹으셨죠. hodori. 네, 호돌이요(...)
  • 루드라 2014/01/22 00:45 #

    일반인이 듣기에는 흐노, 빠히가 맞는 발음이지만 또 음성학 전문가들은 한국의 "흐" 음과 프랑스의 "r"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르노, 빠리가 맞다고 하죠. ^^
  • 다져써스피릿 2014/01/22 04:32 #

    바로 그게 포인트에요. 프랑스인의 Paris r발음이 ㄹ이냐 ㅎ이냐 말이 나온다는거 자체가, 결국 ㄹ도 ㅎ도 아니라는 얘기인겁니다ㅋ 한글의 ㄹ과 ㅎ 둘다 근사치일뿐, 정확한 표현은 아니라는거죠.
    다시 말하자면 우리가 "빠리?" "빠히?" 해도 원어민은 "둘 다 아닌뎁쇼?" 라는........ㅋ

    그들 언어의 발음구조상 표현하고 발음하기 애매한 발음이 있듯이, 우리들에게도 우리말의 발음구조상 표현하고 발음하기 애매한 발음이 있다는건 어쩔 수 없는 얘기에요ㅎ
  • wkdahdid 2014/01/21 08:55 #

    대우는 어땠는지요??궁금하네요.. 나름 쉬울것같은데...ㅎ
  • 다져써스피릿 2014/01/21 09:18 #

    대우는 "대이우" "다이우" 정도 들어봤네요. 확실히 나름 양호한 편이죠.
    하지만 "우" 발음이 우리 "우" 발음이 아니라, 철자에 w자가 들어간 만큼 "워"랑 "우" 사이라고 할 수 있는, 한글로는 표현할 수 없는 "우" 발음이 됩니다ㅎㅎㅎ (물론 미국 얘기입니다. 다른 언어권에서는 또 어떻게 될짛ㅎㅎㅎㅎ)
  • Mavs 2014/01/21 11:02 # 삭제

    라키드가 한국에서 록히드 되는 거와 비슷하군요.
  • 리뉴얼 중입니다 2014/01/21 11:38 #

    기아도 키아
    삼성도 샘숭
    그들 입장에서는 외국어니까요
  • 애쉬 2014/01/21 12:29 #

    이 와중에 지나가던 배재대생이

    PAICHAI UNIV. 던지고 갑니다. ㅋㅋㅋ

    파이차이 유니벌시티 파잌하이 유니벌시티 ㅋㅋㅋ

    KOREA UNIV. 이건 고대에서만 문제 되는 듯.... 교양 영어 시간에 '코랴 유니벌시티, 코리아 유니벌시티' 다 지적받는데요.... '고려 유니벌시티'가 모범 발음 ㅋㅋㅋㅋㅋ
  • paro1923 2014/01/21 18:40 # 삭제

    이른바 '글로벌 시대'라는 것이군요.
    서로 언어체계 다른 국가 쪽 명칭을 부르는 문제는 이미지 제고에도 영향을 미칠테고 말이죠.
  • Ithilien 2014/01/21 18:45 #

    대우발음을 까니까 뭔가 신기하군요. 외국인들도 발음하기 쉬울줄 알았는데 말이지요.
  • 채널 2nd™ 2014/01/22 01:08 #

    현대는 쪽바리 발음으로 읽어줘야 원음을 살리는 맛이 -- '겐다이'라고 읽어줘야 합니다.

    "현대"라는 단어 자체가 쪽바리들이 만들어 주신 단어이니까..

    ---

    양키들은 지멘스를 시멘스라고 읽고, 우리는 Bus를 버스로 읽고, coffee를 영국식으로 코페라고는 절대 안읽고 양키들처럼 커피 비스무레하게 읽고 있...



    그러니까, 제 결론은 각 나라마다 '현대'를 다르게 읽어도 됩니다.

    영어식으로 읽어도 되고, 독일식으로 읽어도 되고, 쪽바리식으로 읽어도 되고, 짱깨식으로 읽어도 됩니다.

    가장 좋은 것이야 전세계에서 모두 현대를 현대라고 읽어주면 참 좋겠지만, 그건 이미 불가능하다고 판명난 사항입니다.
  • ssn688 2014/01/22 13:13 # 삭제

    현대만 그렇겠습니까. 현대 정도면 양반이죠. 독일의 카메라 브랜드 (이제는 일본회사 코시나가 소유한)Voigtländer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영어권 게시판에서도 1번 짤방 같은 반응이죠. (먼 산)
  • SEAZ 2014/01/23 09:19 #

    휸다이 현다이? 이런식이러가 흉기 정도 아닐까요 흐....
  • 풍신 2014/02/05 10:58 #

    일단 브라질은 히윤다이이고, 영어는 히연다이에 가깝게 들리더군요. 샘숭은 참 쉬운 쪽인 듯...
  • Charlie 2014/02/05 22:18 #

    쉐보레(...)가 한국에 들어올때도 입모양을 쉐, 보, 레, 옆에 붙인 광고를 했었지만, 북미지역은 쉐브롤레이 비스므레한 발음을 써왔었죠.
    ....국제화 시대에 어쩔 수 없는 일일지도요.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트위터+배너